Neil Sedaka-One Way ticket


닐 세다카(Neil Sedaka,1939~)는 미국의 싱어송 라이터 가수입니다.

특히 우리나라에서도 인기가 많은 가수안데, '유 민 에브리띵 투 미(You Mean Everything ro me)'

'원 웨이 티켓(One Way Ticket)'등이 인기가 많았습니다.


Neil Sedaka-One way ticket 닐 세다카-원웨이티켓


One way ticket, one way ticket

One way ticket, one way ticket

One way ticket, one way ticket to the blues.

Choo choo train

Chuggin' down the track

Gotta travel on

Never comin' back

 

기적소리를 울리며

기차는 떠나갑니다

다시는 돌아오지 못할

우울한 세계로

 

Woo~ Woo~

Got a one way ticket to the blues

Bye, bye love

 

우~ 우~

차표한장만을 든채 떠나갑니다

안녕 내사랑이여

 

My baby's leavin' me

Now lonely teardrops are

All that I can see

 

사랑하는 사람이 내 곁을 떠나갑니다

​너무나도 외로운 마음에

눈물만이 흐릅니다



닐 세다카는 오 캐롤(Oh! Carol),유 민 에브링 투미(You Mean Everything to me)

등으로 1960년까지 주로 활동했으며 1970년대에는 엘튼 존이 코러스로 참여한 (Bad Blood)가

빌보트 싱글 차트에서 2주간 1위를 기로과며 인기를 끌기도 했습니다.


1978년 할리우드 명예의 거리에 올랐으며 1983년 작곡가 명예의 전당에 헌액되었습니다.



최근에는 남경주-전수경이 닐 세다카의 '오! 캐롤'을 뮤지컬로 공연을 해서

다시 한번 닐 세다카의 음악에 빠져볼 기회가 생겨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Neil Sedaka-Oh! Carol 닐 세다카-오 캐롤


남경주-전수경 커플은 최근까지 뮤지컬 '맘마미아''라카지'와 각종 콘서트를 맞춰왔으며

10년전에는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1991)''아가씨와 건달들(2003)이후 오랫만에 커플연기를

펼칩니다. 이 번 공연의 '오 캐롤'은 미국의 전설적인 싱어송라이터 닐 세다카의 음악으로

엮어만든 주크박스 뮤지컬입니다. 


닐 세다카(Neil Sedaka)-You Mean everything to me(유 민 에브리팅 투 미)

"Bridge over Troubled Water"-Simon & Garfunkel


험한 세상 다리가 되어(Bridge Over Troubled Water)은 폴 사이먼이(Paul Simon)이

1969년에 작사,작곡했으며 사이먼 앤 가펑클의 레코드가 70년 2월부터 히트해

1위가 되면서 밀리언셀러를 기록했다.


Bridge over Troubled Water"-Simon & Garfunkel


Bridge over Troubled Water is the fifth and final studio album by American folk rock duo Simon & Garfunkel, released in January 1970 on Columbia Records. Following the duo's soundtrack for The Graduate, Art Garfunkel took an acting role in the film Catch-22, while Paul Simon worked on the songs, writing all tracks except Felice and Boudleaux Bryant's "Bye Bye Love" (previously a hit for the Everly Brothers).



Bridge Over Troubled Water - Simon & Garfunkel

When you’re weary, feeling small,

당신이 지치고 자신이 작게만 느껴질 때

When tears are in your eyes

당신의 눈에 눈물이 고일 때

I will dry them all

제가 그 눈물을 닦아줄게요.

I’m on your side

저는 당신 편이에요.

When times get rough

힘든 시간이 다가오고

And friends just can’t be found

친구를 찾을 수 없을 때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험한 물살 위에 놓인 다리처럼 

I will lay me down

제가 다리가 되어 드릴게요.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험한 물살 위에 놓인 다리처럼 

I will lay me down

제가 다리가 되어 드릴게요.

When you’re down and out

당신이 무일푼이 되어

When you’re on the street

길거리에 나서고

When evening falls so hard

견디기 힘든 밤이 오더라도

I will comfort you

제가 당신을 위로해 줄게요.

I’ll take your part

제가 당신 편이 될게요.

When darkness comes

어둠이 몰려오고

And pain is all around

사방에 고통이 가득할 때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험한 물살 위에 놓인 다리처럼 

I will lay me down

제가 다리가 되어 드릴게요.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험한 물살 위에 놓인 다리처럼 

I will lay me down

제가 다리가 되어 드릴게요.

Sail on, silvergirl

은빛소녀여, 계속 노를 저어요.

Sail on by

노를 저어 지나가세요.

Your time has come to shine

당신이 환하게 빛날 때가 되었어요.

All your dreams are on their way

당신의 모든 꿈들이 가까이 오고 있어요.

See how they shine

보세요, 그 꿈들이 어떻게 빛나는가를. 

If you need a friend

당신이 친구가 필요하면

I’m sailing right behind

당신 바로 뒤로 노를 저어 갈게요.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험한 물살 위에 놓인 다리처럼 

I will ease your mind

당신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드릴게요.

Like a bridge over troubled water

험한 물살 위에 놓인 다리처럼 

I will ease your mind

당신의 마음을 편안하게 해드릴게요




1970년대 전설적인 포크 록 듀오 사이먼 앤 가펑클(Simon & Garfunkel)은 뉴욕의 포레스트 힐이라는곳에서 

어린 시절부터 친구로지낸 폴 사이먼(Paul Frederick Simon) 과 아트 가펑클(Art Garfunkel)은 

만화영화에서 이름을 딴 '톰과 제리(Tom & Jerry)'라는 이름으로 1957년 부터 음악활동을 시작했습니다.

 1965년도에는 탐 윌슨이라는 프로듀서가 그들의 노래 'Sound of Silence'를 편곡하여 이 곡이 대히트를

치면서 또다시 재결합합니다. 이후로부터 1970년에 발표한 앨범 'Bridge Over Troubled Water'에 이르기까지

약7년간 큰 인기를 누립니다. 한편 1968년 더스틴 호프만 주연 영화<졸업(The Graduation)>의 사운드트랙은

세계적으로 빅히트를 치게 되었습니다.


The Sound of Silence(Original version)-Simon & Garfunkel 졸업-사이먼 앤 가펑클


Lyrics: Hello darkness, my old friend 

I've come to talk with you again 

Because a vision softly creeping 

Left its seeds while I was sleeping 

And the vision that was planted in my brain 

Still remains 

Within the sound of silence 


In restless dreams I walked alone 

Narrow streets of cobblestone 

'Neath the halo of a street lamp 

I turned my collar to the cold and damp 

When my eyes were stabbed by the flash of a neon light 

That split the night 

And touched the sound of silence 


And in the naked light I saw 

Ten thousand people maybe more 

People talking without speaking 

People hearing without listening 

People writing songs that voices never shared 

No one dared 

Disturb the sound of silence 


"Fools," said I, "you do not know 

Silence like a cancer grows 

Hear my words that I might teach you 

Take my arms that I might reach you" 

But my words like silent raindrops fell 

And echoed in the wells of silence 


And the people bowed and prayed 

To the neon god they made 

And the sign flashed out its warning 

In the words that it was forming 

And the sign said "The words of the prophets are written on the subway walls 

And tenement halls 

And whispered in the sound of silence"


This is the original version from 1964 from the album "Wednesday Morning, 3 AM." Just Simon's guitar and the vocals. The famous version was released in 1966. After "Wednesday Morning, 3 AM" flopped, they split up. Without either their knowledge, electric guitars and drums were added and that version of The Sound of Silence became very popular, reaching #1 on the charts in America on New Years Day, 1966. Because of this, Simon and Garfunkel teamed up again and created three more studio albums, one of which one a Grammy award for album of the year and song of the year (Bridge Over Troubled Water).

'맘마미아'의 아바가 30년만에 다시 뭉친다는 소식입니다.

아바는 1973년 스웨덴에서 결성해 이듬해 유럽 국가별 가요대회인 '유로비전 송'

콘테스트에서 '워털루'로 대상을 차지하며 스타로 떠올랐습니다.



아바(ABBA)는 이후 'S.O.S'와 '맘마미아', '댄싱 퀸''허니 허니''김미 김미 김미'

등으로 세게적 그룹으로 성장했지만 활동 도중 4명의 부부가 모두 이혼한 후 1983년에 해체되었습니다.


ABBA-DANCING QUEEN


"Dancing Queen"(댄싱퀸)은 스웨덴 팝 그룹 아바의 대표곡의 하나로, 1976년 정규 앨법 Arrival에

수록된 곡입니다. 


you can dance. you can jive, having the time of tour life

see that girl, watch that scene, dig in the dancing queen

 

춤을 추어요 신나게 춤추자고요 인생의 황금기를 즐기자고요

 아, 저 여자를 보세요 저 모습을 봐요! 저 춤의 여왕을 보라고요

 

friday night and the .ights are low

 looking out for the place to go

 wher they play the right music,

 getting in the swing  you come to look for a king

 

금요일 밤이고요, 어둠이 깔리기 시작하넹 어디로 나갈 장소를 찾지요

원하던 바로 그 음악이 흐르는 곳에서, 리듬에 몸을 싣고요 이젠 그대는 왕자님을 찾습니다.

 

anybody could be that guy

night is young and te music's hing

 with a bit of rock music,

 everting is fime you're in the mood for a dance

 

누구라도 그 왕자님이 될 수 있지요 시간은 아직 이르고 음악은 한창 무르익어가네요

 약간의 록음악만 울려 퍼지면, 만사형통입니다 리듬이 서서히 몸에 베여 춤출 준비가 되엇군요

 

and when you get the chance...

yu are the dancing queen, young  and sweet, only seventeen

dancing queen, feel the bet from the tambourine

you can dance, you can jive, having the time of your life

 

그대 차례가 다가오면 당신도 춤의 여왕으로 변신한다고요

젊고 예쁜 열입곱의 춤의 여왕은 탬버린의 리듬을 느낀답니다

오! 예!춤을 추워요 신나게 춤추자고요 인생의 항금기를 즐기자고요

  아, 저 여자를 보세요 저 모습을 봐요! 저 춤의 여왕을 보라고요

 

you're a teaser, you turn 'em on

leave them burning and then you're  gone looking out for another,

 anyone wil do you're in the mood fr a dance

 

그대는 남자들을 유혹하는군요 그들의애간장을 녹이면서 말이니다.

 남자들의 마음을 불덩이처럼 들끓게 해 놓고선떠나버리는군요

 이젠 또 다른 남자를 찾으면서요...

 어던 남자라도 괜찮아요 그대는 지금 춤추고픈 기분이니까요


<맘마미아>는 베니 앤더슨과 비욘 울배어스가 작곡한 아바의 음악을 바탕으로 영국의 

캐서린 존슨이 대본을 써서 만든 주크박스 뮤지컬이다. 이 작품의 음악은 'Dancing Queen'

'Thank You for the Music''Money,Money,Money''Voulez Vous''I Have A Dream''S.O.S'등의

히트곡으로 구성되어 있다.


ABBA-MAMMA MIA


맘마미아 영화음악(MAMMA MIA OST)

밥 딜런(Bob Dylan)은 1941년 미네소타 출신으로 유대인 집안 혈통입니다.

싱어송라이터,시인,화가이며 본명은 로버트 앨런 지먼먼입니다.


Blowin'In The Wind-Bob Dylan 바람에 펄럭여-밥 딜런 유튜브 캡처


그의 작품은 1960년대 부터 비공식 작자와 저항음악의 대표로서 사랑을 받았습니다.

한국의 학생운동에도 영향을 준 'Blowin in the Wind' 그리고 'The Time They Are

a-Changin'과 같은 노래들은 사회상을 보여주는 저항적 노랫말로 시민권을 

대표하는 곡이 되었습니다. 


Blowin'In Rhe Wind-Bob Dylan 밥 딜런


또한 베트남 전쟁에 대한 저항의 표상이 되며, 대중음익 역사상 가장 영향력 있는

음악가 중 한명으로 꼽힙니다. 음악가로는 처음으로 2016년 '노벨문학상'을 수상했습니다.


사진-위키백과


스웨덴 한림원의 사라 다니우스 사무총장은 수상 발표 직후 한 인터뷰에서. "밥 딜런"

은 귀를 위한 시를 쓴다"라고 표현하였습니다. "밀턴과 블레이크에서 이어지는 영어권

전통 속에서 위대한 위대한 시인이며,항상 자신을 쇄신하고 새로운 신원을 창조하고 있다.


2천5백년전 호메로스와 사포의 시를 지금까지 읽고 우리가 그것을 즐긴다면 밥 딜런

또한 읽을 수 있지 않으면 안 된다고 수상 배경을 밝혔다.


Bob Dylan-Knockin' on Heaven's Door(Original)밥 딜런-노킹 온 헤븐스 도어




밥 딜런은 미국 포크 음악에서 가장 중요한 가수다. 더 클랜시 브라더스의 영향을

받았고 존 바엔즈와 피터, 폴 앤 메리에게 영향을 주었다. 밥 딜런이 지은 곡들 가운데

"Restless Farewell"은 더 클랜시 브라더스가 부른 아일랜드 고전 포크송 파팅글래스를,

"Ramblin' Gamblin'Willie"는 브레넌 온 더 모어를, "Farewell"은 잉글랜드 고전 포크송

리빙 어브 리버풀을 "Pretty Paggy-O"는 메이드 어브 파이프-이-오를 패러디 한 곡이다.


밥 딜런이 지은 반전평화 가요인 "Blowing in the Wind'는 존 바에즈나 주디 콜린스(Judy

Collins),킹스턴 트리오(The Kingston Trio),피터 폴 앤 메리 등등도 불렀다. 한편 대한민국의

1970년대 통기타 포트 음악은 미국 포크 음악의 영향을 받았다. 이를테면 김민기,

양희은,등의 가수들은 모두 통기타를 사용하는데, 미국 포크 음악으로 부터 영향을 받았다.


밥 딜런 노벨문학상수상

왈츠의 여왕-패티 페이지


'왈츠의 여왕' 패티 페이지는 '테네시 왈츠' '체인징 파트너' '문리버'등으로 전세계인의

사랑을 한몸에 받았던 이 시대 레전드급 가수였습니다.

안탑깝게 2013년 향년86세로 노환으로 타계를 하였네요




Changing Partners ( 1953 ) - PATTI PAGE - Lyrics
We were waltzing together to a dreamy melody
When they called out "Change partners"
And you waltzed away from me
Now my arms feel so empty as I gaze around the floor
And I'll keep on changing partners
Till I hold you once more

Though we danced for one moment and too soon we had to part
In that wonderful moment something happened to my heart
So I'll keep changing partners till you're in my arms and then
Oh, my darling I will never change partners again


Patti page


1927년 오클라호마에서 태어난 패티 페이지는 1947년 머큐리 레코드사와 계약을

하고 가수로 본격 데뷔합니다. 이후 1951년 발표한 '테네시 왈츠'로 세계적인 인기를

누리게 됩니다. 이 곡으로 패티 페이지는 '왈츠의 여왕' 애칭을 얻게 되죠~



The Tennessee Waltz-singer Patti Page 1950 패티 페이지-테네시 왈츠



Her biggest hit was "The Tennessee Waltz", which was also released in 1950. "The Tennessee Waltz" was #1 for thirteen weeks in 1950
http://en.wikipedia.org/wiki/Patti_Page

written by Redd Stewart and Pee Wee King in 1947, popularized by Patti Page and by Les Paul and Mary Ford in 1950
-------------------------
I was waltzing with my darlin' to the Tennesse waltz
when an old friend I happened to see.
I introduced him to my loved one,
and while they were waltzing
my friend stole my sweet-heart from me.

I remember the night and the Tennessee waltz.
Now I know just how much I have lost.
Yes I lost my little darlin' the night
they were playing the beautiful Tennessee waltz.

I was waltzing with my darlin' to the Tennesse waltz
when an old friend I happened to see.
I introduced him to my loved one,
and while they were waltzing
my friend stole my sweet-heart from me.

I remember the night and the Tennessee waltz.
Now I know just how much I have lost.
Yes I lost my little darlin' the night
they were playing the beautiful Tennessee waltz.


패티 페이지의 감성적이면서 우아한 왈츠퐁의 '테네시 왈츠'는 여성 가수의 앨범사상

최고의 판매기록을 세우면서 미국 남동부 테네시를 세계에 알리는 공로를 인정받게 됩니다.


테네시 주는 이 노래의 공로를 인정 1956년 공식  주가로 채택하기도 했습니다.


패티 페이지


Patti Page-Moon River


패티 페이지는 ABC 방송의 '패티 페이지 쇼'를 비롯해 NBC, CBS등 미국3대 방송사에서

자신의 이름을 건 프로그램을 진행한 최초의 가수가 되기도 했습니다.


국내에서도 '최초'라는 수식어를 달고 다니며 대중음악사에 한 획을 그은 가수 패티 김이

페이지처럼 노래를 잘하고 싶어 '패티'라는 이름을 빌려온 일화는 잘알려져 있지요~


오드리햅번



영화 '티파니에서 아침을'(Breckfast At Tiffany's)의 주제곡 '문리버'(Moon River)는

영화 전편에 은은하고 감미롭게 흐르면서 영화속에 몰입하게 됩니다.


오드리 햅번은 지구촌의 가난하고 어두운 나라에 봉사하며 헌신하기로도 유명합니다.

젊은시절 아름답고 우아한 매력만점의 여배우로 기억되던 오드립햅번은 만년에 유니세프(UNICEF)

친선대사로 아프리카 자원봉사자로 몸소실천하는 천사같은 이 시대의 진정한 여배우입니다.


'문리버'(Moon River)는 자니 머서(Johnny Mercer)작사, 헨리 맨시니(Henry Mancini)작곡으로

오드리 햅번이 기타를 치면서 흥얼대며 불러는데 그해 아카데미 그레미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조안 바에즈(JOAN BAEZ)


조안 바에즈는 '노래하는 음유시인'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는 밥 딜런과 함께

포크음악을 통해서 인종평등, 비폭력 반전운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전셰계 팬들의

호응과 사랑을 받았던 포크음악의 거장이었습니다.


THE RIVER IN THE PINES-JOAN BAEZ 조안 바에즈-솔밭사이로 강물은 흐르고




Joan Baez-The River In The Pines

Oh, Mary was a maiden When the birds began to sing 

메리는 아가씨였죠 새들이 노래를 시작하는 ...

She was sweeter than the blooming rose So early in the spring

 그녀는 이른 봄날에 활짝 핀 장미보다도 아름다웠죠 
Her thoughts were gay and happy And the morning gay and fine 
그녀는 즐거움과 행복만을 생각했죠 그리고 화창한 어느 날 아침 연인을 만났죠 
For her lover was a river boy From the river in the pines
 그녀의 연인은 솔밭 사이를 흐르는 강가에 사는 청년이었죠 

Now Charlie, he got married To his Mary in the spring 
이제 찰리, 그는 어느 봄날에 그의 연인인 메리와 결혼을 했죠 
When the trees were budding early And the birds began to sing 
나무에서 새싹이 돋아나고 새들이 노래하기 시작하는 그 봄날에 ... 
But early in the autumn When the fruit is in the wine, 
그러나 과일들로 술을 담그는 이른 가을날이 되자
I'll return to you, my darling From the river in the pines 
찰리는 "나는 돌아올 거야, 그대여"라며 소나무들 사이를 흐르는 이 강을 떠나갔죠 

It was early in the morning In Wisconsin's dreary clime 
이른 아침이었죠 위스콘신의 황량한 땅에 ...
When rode the fatal rapids For that last and fatal time 
그가 피할 수 없는 급류에 휩쓸려 마지막 운명을 맞이한 곳 ... 
They found his body lying On the rocky shore below 
그들은 누워있는 찰리의 시신을 바위 투성이의 해안에서 발견했어요 
Where the silent water ripples And the whispering cedars blow 
고요한 잔물결이 일렁이고 삼나무가 바람결에 속삭이는 곳 ... 

Now every raft of lumber That comes down the Chippewa, 
지금도 원목을 나르기 위한 뗏목들이 치페와강으로 떠내려가죠 
There's a lonely grave that's Visited by drivers on their way 
자동차 여행자들이 많이 찾는 그 길목에 외로운 무덤이 하나 있어요 
They plant wild flowers upon it In the morning fair and fine 
어느 화창하게 갠 맑은 날 아침 그 무덤에 사람들이 야생화를 심어주었어요 
'Tis the grave of two young lovers From the river in the pines 
그 무덤은 솔밭 사이를 흐르는 강가에 살던 젊은 두 연인들을 위한 것이랍니다


JOAN BAEZ-DONNA DONNA DONANA


미네소타 출신인 밥 딜런은 우디거스리의 열렬한 팬이었으며 조안 바에즈를 무척이나

동경했다고 합니다. 그가 초기에 부른 노래 'blowin in the wind' the time they are a changin'는

미국시민권관 반전의 상징의곡이었습니다. 이렇게 노래와 반전운동으로 활발한 활동을 하였던 밥 딜러는

올해 노벨평화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멕시코 불법체류자의 너무나 슬프고 힘든생활의 애환을 노래한  돈데 보이(Donde Voy)

는 멕시코계 미국인 여성가수 티시 이노호사가 통기타를 치며 구슬프게 스페인어로

부른 노래인데 가사내용은 어떤 내용인지 몰라도 멜로디만으로도 슬픔이 그대로

전달되는 가슴아픈 노래입니다.



돈데 보이(Donde Voy)는 번역하면 '어디로 가야 하나'라는 뜻인데

이 노래는 멕시코 국경을 넘는 불법 이민자의 처절한 삶과 애환, 고국에 남겨둔

연인을 그리워 하는 안타까운 사랑을 담고 있어 숙연해지게 만듭니다.



티시 히노호사-돈데보이 Tish Hinojosa-Donde Voy

Where I Go


미국과 멕시코 국경에서 멕시코인들이 국경을넘어 돈을벌기위해 폭염과 40도가

넘는 일교차에 독사,전갈,독거미가 득실거리는 사막에서 죽어가는 불법이민자들의

안타까운 삶이 그대로 전달이 되는 듯 합니다.




돈데보이-번역가사


멕시코 인들의 고달픈 삶을 노래하고 있다. 아메리카드림을 안고서

죽음을 무릎쓰고 험한사막을 지나 국경을 넘는 치열한 생존의 삶을 노래함



심수봉-나는 어디로(Tish Hinojosa-Donde Voy)


Jimmy Osmond Mother of Mine


Jimmy re-recorded Mother of Mine a couple of year ago

I've combined both his 70's version and the new version togher here in

this video tribure to Mother Osmond



형제 그룹 오스몬드(Osmonds)중 하나인 지미 오스몬드(Jimmy Osmond)가

어린 시절에 부른 올드 레퍼토리.그의 천진 무구하게 울려 퍼지는 낭랑한 목소리는

국내에서도 많은 인기를 얻으면서, 국내 가수들에 의해서 번안되어 부리워졌습니다.






'나의 어머니, 내 생애를 소원대로 이루어 주신 어머니. 받은 은혜를 갚아 드려야지요.

어릴 때는 품에 안아 길러 주시고 가르쳐 주시고 인도해 주신 어머니

행복이란 말 이상 행복을 내게 주신 어머니


70년대 오스몬드 멤버로 활동했던 막내 지미 오스몬드의 청아한 보컬에 담긴

Mother of Mine


어머니의 가이없는 은혜와 사랑을 어린아이가 애절하게 불러 국내팬에게

많은 사랑을 받았던 팝송입니다. 어머니라는 단어는 동서양을 막론하고

늘 가슴벅차고 눈시울이 괜히 불거지는 단어인것 같습니다.



Mother of Mine/Jimmy Osmond


Mother od Mine You gave to me all of my life to do as I please

나의 어머니 나를 즐겁게 하려고 당신의 모든 삶을 주셨습니다.


I owe everything I have to you Mother, sweet mother of mine

나의 모든것은 당신에게 진 빚입니다. 어머니 사랑스런 나의 어머니


Mother of Mine When I was young You showed me the right way thing should be done

나의 어머니 내가 어렸을 때엔 내게 바르게 살아갈 길을 보여주셨습니다.


Without your love, where would I be Mother, sweet mother of mine

당신의 사랑이 아니면 내가 지금 어디에 있겠습니까,어머니,사랑스런 나의 어머니


Mother you gave me happiness much more than words can say

어머니 당신은 내게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큰 행복을 주셨습니다.


I pray the lord that He may bless you every night and every day

주님이 당신의 낮과 밤을 축복해 주시기를 기도드립니다.


Mother of mine Now I am grown And I can walk straight all on my own

나의 어머니 이제 난 어른이 되었고 혼자서 바로 걸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I'd like to give you what you gave to me Mother sweet mother of mine

이젠 당신이 내게 준 것을 당신에게 돌려 드리고 싶습니다.


Mother you gave me happiness much more than words can say

어머니 사랑스런 나의 어머니 어머니 당신은 내게 말로 표현 할 수 없는 큰 행복을 주셨습니다.


I pray the lord that He may bless you every night and every day

주님이 당신의 낮과 밤을 축복해 주시기를 기도드립니다.


Mother of mine Now I am grown And I can wark straght all on my own

나의 어머니 이제 난 어른이 되었고 혼자서 바로 걸을 수 있게 되었습니다.


I'd like to give you what you gave to me Mother sweet mother of mine

이젠 당신이 내게 준 것을 당신에게 돌려 드리고 싶습니다.


You Light Up My Life는 1977년의 같은 제목의 영화주제가로, 이 영화의 감독,대본,음악을

담당했던 조셉 브룩스가 작사,작곡한 왈츠풍의 아름다운 사랑의 발라드인데

사운드 트랙에서는 캐시 시스크가 부르고 있다.


1977년 데비분이 레코드로 발매하여 77년 9월부터 히트하여,빌보드의 Hot 100에서

10월주간 연속 1위를 차지하고, 200만 매를 넘는 베스트 셀러가 되었으며,

데비 분은 이 곡으로 그레미상의 1977년도 최우수 신인상을 받았다.





Debbie Boone-You Light Up My Life 2013


나나무스꾸리-오버앤드오버(Nana Mouskouri-Over and Over[나나무스꾸리-오버앤드오버,번역가사]

그리스 아테네 태생인 나나 무스끄리는 청순하고 이지적인 이미지를 풍기는 민감한

예술적 감각으로써 60년 독일로 진출하여 '하얀 손수건'.'아테네의 흰 장미'와 같은

노래를 히트시킴에 따라 무려 1백20만장 앨범 판매를 기록을 남겼습니다.




우리나라에서도 매우 인기가 많아 70~80년대 음악다방이나 심야 라디오등에서 자주

그리고 가장 감미롭게 들었던 그리스 출신의 여가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