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도 새우젓, 강화도 추젓의 효능

가을철에 잡은 새우로 담근 젓을 말합니다. 붉은색을 띄며 크기기 작고,

주로 김장용으로 많이 사용합니다.


새우젓은 김장을 담그거나 돼지 족발,순대 ,편육과 함께 먹기도 하고, 특별한 반찬 없이

김이 모락모락 나는 한얀 쌀밥에 그냥 먹기에도 맛이 있습니다.


새우젓은 생새우에 소금을 뿌려 담근 젓으로 천일염을 통해 만들어 지며 잔새우나,

곤쟁이로도 담그는 데 지역에 따라 민물새우로도 담그는 경우도 있습니다.





새우젓의 종류에는 육젓,오젓,추젓으로 나뉘는데 육젓은 음력 6월 10일~7월 10일 사이에

잡은 새우로 담그는 젓갈로 젓갈로 크기가 가장 크고 산란을 앞둔 철이어서 살이 통통하며

염도가 높아 새우젓 중 최상으로 침니다.


오젓은 육젓 다음으로 치는 오젓은 음력 5월10일~6월10일 사이에 잡은 세우로 잡은

것으로 육젓의 70%정도의 크기이며 오월 사리철에 특히 많이 잡혀 오사리젓 이라고 불립니다.


추젓은 삼복 이후 추석무렵인 10월까지 잡아 담는 젓갈로 육젓이나 오젓에 비해

살이 적고 크기가 작지만 가격이 저렴하고,숙성시켜서 내놓는 시기가 김장철과 맞아

떨어져 가정에서는 대부분 추젓을 가지고 김장을 합니다.


또한, 새우젓을 토굴에서 숙성하면 일정 온도로 인해 맛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특히 광천 옹암리의 토굴에서 숙성한 광천 새우젓이 유명하여, 가을이면 매년 광천

새우젓 축제가 열리고 있습니다.




새우젓의 효능


새우젓은 프로테아제와 리파아제가 있어 소화를 촉진 시키고 고기나 기름기

많은 음식의 간을 맞출때 화학조미료 대신 새우젓을 쓰면 음식의 간은 물론 영양

밸런스도 맞출수 있습니다. 또한 필수 아미노산이 풍부하여 식욕감퇴,각기병

신경증에 효과가 있으며 베타인 성분은 위액의 산성도를 조절하여 고지혈과 비만에

도움을 줍니다.


가을새우젓 추젓의효능


특히 가을새우젓인 추젓의 효능은 다른 어떤 새우젓보다도 강력하다고 합니다.

가을 새우젓 추젓은 위암에 효과가 있고 치매예방에도 좋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가을 새우젓,추젓은 온갖 종류의 염증 질병에 치료효과가 매우 탁월하다고 합니다.


식도염,위염,장염,구강염 같은 소화기관의 염증과 암에 몹시 효과가 빨리나타나며

심각한 위염이나 위궤양을 않고 있는 사람이 가을 새우젓을 먹고 단 하루나

이틀 만에 씻은 듯이 나은 사례도 적지 않다고 합니다.


소화기관의염증이나종양에는 효과가 매우 빠르지만 폐렴,간염,담낭염,기관지염

등에는 효과가 약간 더디지면 오래 먹으면 만성간염,담낭염,기관지염,폐렴,신장염,

방광염 같은 온갖 염증성 질병을 뿌리 뽑을수 있다고 합니다.


새우젓에는 뇌에 좋은 미립자 형태의 단백질이나 칼슘,같은 미네랄 영양소가 

많이 들어 있을 뿐만 아니라 가장 훌륭한 소금이 들어있고 온 몸에 산소를 많이

공급하고 면역력을 길러 주며 염증을 없애준다고 합니다.


새우젓에는 음식물을 소화하고 분해할 수 있는 효소가 많이 들어 있어서

새우젓을 먹으면 소화가 아주 잘 되고 밥 한 숟갈에 새우젓을 콩알만큼씻

넣고 다른 나물 반찬등과 함께 짜지 않을 정도로 먹습니다.


그러나 한 번에 너무 많이 먹으면 속이 몹씨쓰려서 위경련이 생길수 있으므로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2016년 제13회 강화도 새우젓축제 10,7~10,9

인천광역시 강화군 내가면 외포리 507-34번지

주말여행코스로 백령도 여행을 추천해 봅니다.

백령도는 국토 최북단에 위치한 청정해역에 있는 아름다운 섬입니다.


우리나라에는 네개의 끝섬이 있죠. 북쪽끝섬은 백령도,남쪽끝섬 마라도,동쪽끝섬 독도,

서쪽끝섬 가거도입니다. 그 중에서도 군사적 요지이기 때문에 발전은 많이 못했지만

그렇기 때문에 어느 지역보다도 깨끗한 자연환경이 오랫동안 보존된 곳 바로 백령도입니다.


백령도 앞바다에는 장군바위부터 촛대바위,신선대,선대암 등 기암괴석이 바다 위로

솟아나 있어 서해의 해금강이라고도 불리웁니다.


문화체육관광부는 국토끝섬 관광자원화 사업을 위해 대한민국 최북단 섬

백령도를 다녀왔다. 국토끝섬 관광자원 사업이란 백령도를 비롯해

마라도,가거도,독도 등 우리나라 국토의 네 끝섬을 관광으로 활성하고자

하는 사업입니다.


백령도 하면 제일 먼저 떠오르는 것은 천안함 사건일 것입니다.

천암함의 상처를 품에 안은 안보의 섬,백령도 먼저 천안함 56용사 위령탑에

묵념을 드린다음 본격적인 여행탐사에 들어가보겠습니다.



먼저 수려한 풍광을 보기 위해서는 인천 연안부두에서 여객선을 타고 들어가야 합니다.

백령도 용기로항에 도착하면 우선, 유람선을 타고 두문진 해상관광을 해보시기 바랍니다.


1. 두문진은 명승 제8호, 마치 장군들이 머리를 맞대고 회의를 하는 것 같다고

붙여진 이름, 웅장한 경관을 자랑합니다.


2. 심청각

심청이 몸을 던진 인당수와 환생했다는 연봉바위가 동시에 내려댜

보이는 곳에 위치해 있습니다.


3. 콩돌해안

천연기념물 392호, 모래 대신 자갈돌로 이뤄진 해안, 파도에 의해

돌이 달하아져 콩처럼 작은 자갈돌이 되었습니다.


4. 끝섬 전망대

올해 11월 완공 예정인 전망대로 백령도와 국토끝섬에 관한

자료들로 꾸며질 예정입니다.



5. 감람암 포획 현무암 분포지

천연기념물 393호,검은 현무암들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서 나온

감람암은 중요한 지질연구자료 쓰임니다.


6. 중화동 교회

남한 최초의 교회로 1896년에 세워졌습니다.

한국기독교 100년사를 함께한 한국교회의 산 역사입니다.


7. 사곶해변

천연기념물 391호, 미세한 모래로 이루어진 해변, 지면이

단단하여 유사시 비행기 이착륙도 가능하다고 합니다.



백령도에서 가볼 만한 곳은 대부분 해안선 주변에 빙 둘러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절경을 놓치지 않고 구경하려면 렌트카를 비리는게 편합니다.


거의 모든 길이 왕복 2차로라 갈림길을 만났을때 오른쪽으로만 꺾으면

섬을 한 바퀴 돌수있습니다.


교통편: 인천항 연안여객터미널에서 하모니플라워호(2천톤급)나

코리아킹호(534톤급)를 타면 됩니다. 두 배 모두 하루1회 운항하고

백령도까지 4시간이 걸립니다.


'서해5도 방문의 해'를 맞아 연평,백령,대청도를 방문하는 다른 지역 주민들은 

반값으로 할인이 된다고 합니다.


성인 기준 왕복요금 6만6천500원,중,고생6만원,ㅕㅇ로우대 5만3천500원

1박이상 묵는 관광객을 대상으로 5~12월 할인하는데 예산이 소진되면

조기 마감될수 있습니다.


섬내 교통편: 개인택시,마을관광버스,렌터카 1일(5~6만원)운영


숙박업소: 백령도 동북편에 진촌리.식당과 숙박업소,잡화점이 몰려있습니다.

하루 5만원선


음식: 백령도 곳곳에 홍합돌솥밥이 유명합니다.

사곶냉면과 진촌리 '뚱이네 맛집'도 유명합니다.


CCM의 디바 소향은 듣는 이들의 혼을 빼놓는 폭발적인 가창력으로

감동을 안겨주는 한국 CCM계의 디바라 별명이 붙어있을 정도로

뛰어난 가창력의 소유자입니다.


소향은 CCM가수로 데뷔한 스무살 어느날, 새벽기도 중에 "결혼을 행하지 않으면

유익이 없으리라"는 하나님의 메세지를 들었다고 합니다. 그 메시지를 놓고 한참동안

고민과 기도를 계속하다가 ,결국 막 교제를 시작하던 김희준 씨(현 CCM그룹 POS리더)

와 결혼을 하게 됩니다.




결혼 후 갑작스런 복통으로 찾아간 산부인과에서 그녀는 자궁암 진단을 받게 되고

수술과 함암치료를 통해 완치된 후 다시 찬양사역을 하게 됬다는 것입니다.


결혼을 했기때문에 산부인과에 가게 되었고 거기서 자궁암을 발견했기에 

살수가 있었던 것입니다. 하나님의 메시지가 정확히 맞아 떨어진것입니다.


어린 나이에 겪었던 자궁암이라는 고난을 신앙으로 극복하고 최고의 찬양 사역자로

우뚝선 소향."하나님을 알아가는 것만이 인생의 목표"라며 자신의 신앙고백을 밝힌

소향은 특유의 폭발적인 가창력과 이국적인 외모보다는 찬양간증을 통해서 하나님의

은혜를 모두 함께 같이 나누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밝혔습니다.



소향-마라나타


마라나타는 주님이 오신다 라는 외침의 소리입니다,또한 어서 오십시오 주님이라는

뜻으로 기다린다는 의미입니다.



한편 소향은 '한국의 머라이어 캐리' '능가할 수 없는 절대고음의 소유자'로

감탄을 갖게합니다. 음악 경연 프로그램 '나는 가수다(나가수)2'에서 수차례

1위를 거머진 레전드급 가수 소향입니다.

나자리노(The Love Of The Wolf,1974)는 레오르나도 파비오 감독 연출작이며

주연배우는 후안 호세 카메로,라우타로 무루아,마셀로 마르코트 입니다.


특히 이 영화의 테마음악은  서정적이고 감미로운 음악으로 전세계인의 사랑을 받고 있는

너무나도 아름다운 주제음악입니다.


나자리노 영화의 간략한 스토리는 일곱 번째로 태어나는 남자는 보름달 뜨는 밤 

늑대로 변한다는 전설 속에 일곱 번째 아들로 태어난 나자리노.

악마가 사랑을 포기하면 부와 명예를 주겠다고 제의했지만 나자리노는 이를 거부

결국 늑대청년이 되고 만다. 보름달 뜨는 밤이면 늑대로 변해가는 젊은이의

운명적인 사랑이 슬프고도 아름답게 묘사된 테마곡 'When A Child is Born'은

지금도 많은 사람들의 추억의 선율로 남아 있는 명곡입니다.



아르헨티나에서 제작된 영화 나자리노의 OST는 영화보다도 

더 사랑을 받았던 명곡입니다. 원곡은 독일의 가수 마이클 홀름







Who better than a child to represent the highly esteemed Marine Corps Toys for Tots Campaign? And what better child than Connie Talbot, the acclaimed 8-year-old vocalist who first came to worldwide attention as a finalist on the mega-popular entertainment program Britain's Got Talent? Upon her installation as ambassador for the U.S. Marine Corps' annual holiday charitable program, the pint-sized superstar immediately announced that she would dedicate her forthcoming holiday album to Toys for Tots and donate part of the proceeds to the venerable organization. In addition, Connie will help promote the cause and spread the Toys for Tots message around the nation. Connie Talbot is proud to support the cause and will help popularize the Marine Toys for Tots program. When asked about her Toys for Tots announcement, Connie states, "I'm sad and happy -- sad because I'm learning there are so many children who are not as lucky as I am, and I'm happy that I'm able to help them."

1954년의 이태리 영화<길>(La Strada) 페데리코 팰리니 감독의 이 영화에서는 

그의 부인 줄리에타 마시나가 떠돌이 사나이를 따라다니는 약간 지능이 낮은 처녀

젤소미나로 분장하여 박진감 넘치는 명연기를 펼쳐 감동을 준 명작영화입니다.


특히 영화음악의 거장 니노 로타(Nino Rota)가 작곡한 주제곡은 이 영화의

백미라 할수 있습니다. 이 곡은 큰 사랑과 인기를 얻고 칸소네로도 발표가 되었습니다.


집 떠나는 가엾은 젤소미나 가정형편상 팔려가는 불쌍한 젤소미나의

표정이 안탑깝게 느껴집니다. 다시 돌아 올줄 알았는데 결국 돌아오지

못하는 젤소미나




LA STRADA-Jean-Claude Borelly. 젤소미나(길) 주제테마 트럼펫 연주 





트럼펫과 작은북을 처음배우는 젤소미나

혼내는 잠파노(안소니 퀸) 매맞고 우네요 불쌍한 젤소미나


젤소미나 파노라마



서커스 동료가 잠파노의 폭행에 살해되고 젤소미나는 충격을 받고

거의 정신이 나가자 잠파노는 트럼펫을 남기고 젤소미나를 떠나고 만다



주연:안소니퀸,줄리에타 마시나,리처드 베이스하트

길은 아카데미 최우수 외국어영화상수상, 베네치아 영화제: 은사자상,황금사자자상 후보

에 오른 명화중의 명화라 할 수 있습니다.

가수 진미령씨는 1975년에 장덕 작사,작곡의 '소녀와 가로등' 으로 

데뷔하였습니다. 한 때 화교라는 소문이 무성했으나 헛소문으로 밝혀졌습니다.

그녀의 아버지는 광복군 출신의 독립투사이며 한국전쟁에도 참전하여 혁혁한 공을 세운

예비역 대령으로 알려지며 화제가 되기도 했습니다. 참 훌륭한 아버지입니다.


진미령씨의 재능은 노래뿐이 아니라 요리,책출판,영화출연,라디오 MC 등 다양한

재능을 가진 엔터테이먼트 입니다.


그녀의 음반은 1집: 하얀민들레/비누방울 2집: From LA Seoul 3집: Golden Album 4집: 회춘

남자의 꿈,내가 난생 처음 여자가 되던 날,외출,홀로이,인연



여전히 예쁘시고 젊으신 진미령씨 영원한 팬입니다. 행복하세요~




최근에 진미령씨는 '솔직한 연예토크 호박씨'에 출연하여 그녀의 숨겨진 이야기를

밝혀 가슴을 뭉쿨하게 하였습니다.


호박씨 66회 방송에서는 가수 장윤정, KBS 아나운서 출신 MC 김현욱, 방송인 조영구

가수 김흫국,방송인 송도순, 요리연구가 이혜정,SBS 아나운서 출신 방송인 윤영미와

게스트 진미령이 출연해  풍성한 재미를 선사했습니다.


진미령씨는 2001년 개그맨 전유성과 결혼해 연예계 최고의 잉꼬부부로

불렸지만 약 10년후 2011년 이혼했다는 소식을 전하기도 했습니다.


이날 진미령씨는 미혼자와 기혼자 중 누가 더 외로울까 라는 질문에 진미령씨는

"기혼자가 더 외롭다"라고 답변해 눈길을 끌기도 했습니다



혼자서도 잘산다 <화려한 골드미스 진미령>





소녀와 가로등(제1회 MBC 서울가요제 원곡


가을에 가족과 함께 떠나는 가을여행 어디가 좋을까요?

서울에서 1시간여 거리엔 우리 민족의 역사가 담긴 곳,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마니산, 단군이 하늘에 제천의식을 봉행하던 첨성단이 있으며, 등산로를

따라 오르면 서해바다 풍경이 한 눈에 들어와 아름다운 경치를 만끽할 수 있는 강화도

1박2일 코스로 제격입니다.


게다가 강화도 특산물인 인삼을 비롯해서 서해바다에서 나는 해산물을 함께

즐기는 맛과 여행, 가을 여행코스로서는 그만입니다.


가을에 인천이 자랑하는 길은 '강화 나들길'이 있습니다. 역사와 문화가 공존하는

강화도 강화 나들길 코스마다 색다른 풍경으로 여행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습니다.


인천 대이작도는 서해의 맑은 물과 하얀 백사장,울창한 숲까지 천혜의 자연환경을 

고스란히 간직한 여행지입니다.


인천대이작도-사진 한국관광공사


마니산은 한라산과 백두산 그 한가운데 위치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가을 단풍나들이에 제격이라 합니다. 가을 강화의 정취를 느끼기 좋은 

여행코스로 걷기 여행도 좋습니다. 강화 나들길은 여러 코스로 볼거리도 

풍부하며 자연환경을 즐길수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또한 여행에서 빼놓을 수 없는 먹거리가 즐비한데요. 강화풍물 시장에서는

강화특산물이 유명한데요. 특히 갯벌이 넓어 맛있는 해산물이 많은 강화도에서

잡은 싱싱한 해물을 팔고 있어 관광객들에게 인기가 많습니다.


특히 추젓이라 해서 가을에 잡는 새우가 유명합니다. 또한 강화에서만 나온다는

순무가 있습니다. 순무는 10월중순부터 11월까지 제철인데 추젓에 양념한 순무는

그 맛이 일품이어서 한 번 막본 사람은 그 맛을 평생 잊지를 못한다고 합니다.



해마다 강화도에서는 강화도 외포리에서 강화도 새우젓 축제를 하고있는데

유명한 강화도 새우젓을 사러 전국에서 몰려오며 방방곡곡으로 각지에

새우젓을 택배로 보내기도 합니다.


또한 강화도의 명물 젓국갈비, 갈비를 젓국에다 두부 넣고 채소 끓인 젓국갈비는

약 800여 년 전 고려 왕실이 몽골군을 피해 강화도로 피신해 왔을 때 임금님께

진상한 음식입니다. 젓국갈비는 강화에서 나오는 새우젓으로 간을 하는게 특징입니다.


새우젓에서도 가을에 나는 추젓만으로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가을것을 사용하여야

깊은 맛이 나오고 젓국갈비에 아주 적합한 맛이 나온다고 합니다.


가을의 맛과 멋이 가득한 강화 가을 여행 가족과 함께 즐겨보시기 바랍니다.


CCM천번을 불러도-주리2집,영혼의 목소리

CCM 2016. 9. 19. 15:09 Posted by onlyi

영혼의 목소리 주리의 CCM '천번을 불러도' 갚을 수 없는 주님의 사랑

영원한 생명을 허락하신 주님!~ 갚을 수 없는 그 사랑, 천만번을 불러본들부족한

예수 그이름! 예수 가장 귀한 그 이름,오 예수 주님을 찬양합니다.



JURI의 2집 앨범 타이틀 곡으로 주님의 이름 안에 담긴 사랑을 찬향하는 곡


주리2집-'천번을 불러도' 가사


천번을 불러봐도 내눈에 눈물이

멈추지 않는 것은 십자가의 그 사랑

나를 살리려 지신 그 십자가

모든 물과 피 나의 더러운 죄 씻으셨네


나를 향한 그 사랑 생명을 내어주사

영원한 생명을 내게 주심을 감사해


천번을 불러도 내눈에는 눈물이

멈추지 않는 것은 십자가의 그 사랑

나를 살리려 하늘 보좌 버리신

나를 사랑하신 분 그분이 예수요


천번을 불러봐도 내눈에 눈물이

멈추지 않는 것은 십자가의 그 사랑

나를 살리려 지신 그 십자가

모든 물과 피 나의 더러운 죄 씻으셨네


나를 향한 그 사랑 생명을 내어주사

영원한 생명을 내게 주심을 감사해


천번을 불러도 내눈에는 눈물이

멈추지 않는 것은 십자가의 그 사랑

나를 살리려 하늘 보좌 버리신

나를 사랑하신 분 그 분이 예수요



송창식씨를 보게 되면 왠일인지 세상을 달관한 도인같은 느낌이 듭니다.

인상이 너무나 포근하고 따뜻할것 같은 송창식씨 영원한 팬입니다.


송창식씨의 명곡들 '사랑이야''피리부는사람''왜불러'



최근에 송창식씨는 1970년대 포크 음악을 상징하는 '쎄시봉'과박인희,송창식의

콘서트를 세종문화회관에서 연다고 합니다.


9월18일 열리는 '쎄시봉 친구들 콘서트'에는 이장희,윤형주,김세환이 무대에 오르며

조영남이 빠진 자리에 새롭게 이장희씨가 합류를 했습니다.


가수중 자유로운 영혼을 소유한 기인으로 조영남과 송창식씨를 꼽을 수 있습니다.

송창식씨는 개량한복을 입고 밝게 미소지으며 노래하는 모습은 마치 인생을 달관한

도인의 모습 그자체인듯 합니다.


송창식씨는 음악에 천재였지만 가난해서 대학에 진학을 하지 못하고 혼자

캠퍼스를 돌아다니며 노래하다가 세시봉 MC였던 홍대생 이상벽의 눈에 들어

세시봉에 출연하게 됩니다. 그곳에서 운형주를 만나 트윈폴리오를 결성하여 한국의

'사이먼 앤 가펑클'로 불리며 유명세를 탔습니다.


송창식씨의 철학을 보게되면 참 본받을점들이 많다는 것을 느끼게 됩니다.

송창식씨는 미사리의 작은 무대에서 노래 부르며 살아가는데 그와 함께 활동하는

기타리스트 함춘호씨는 "돈을 생각하면 하기 힘든 생활"이라고 말했습니다.


"세시봉4인방 중 가장 돈이 없지만 4명중 돈이 유일하게 부족하지 않은 분"이라는

말을 남겨줬습니다. 한편 조영남씨는 송창식씨를 일컬어 노래밖에 모르고 음악에

목숨 건 '진짜가수'라며 손을 치켜세웠습니다. 송창식씨는 지난 50년간 연습을 건너뛴

날이 하루도 없을 정도로 노력파 가수입니다.

<머니위크>(www.moneyweek.co.kr) 제442호 기사중 일부발췌






1960년대말부터 1970년대 초반까지 솔로로, 한때는 타계한 한민씨와 함께

혼성듀오로 활동하면서 '꽃반지 끼고''사랑해''등대지기'등을 부르며 가요계를

주름잡았었습니다. 단순하고 쉬운 멜로디에 여성의 감성이 물씬 묻어나는 노래로

인기를 누렸습니다. 


은희씨는 고향 제주의 한 재래시장을 지나다가 좌판에 깔린 갈중의(갈옷)를

본 그녀는 그 순간 "필(Feel)이 꽃혔다고 합니다. 제주의 특산품 중 하나의 갈옷은

예부터 땡감으로 염색해 제주 사람들이 작업할 때 즐겨 입던 옷으로,땀 흡수력이

빼어나고 습기와 냄새제거 효과도 뛰어나다고 합니다.


"이것이면 서양의 대중 옷인 블루진을 이길 수 있겠다"는 확신을 얻은 그녀는

1989년부터 제주도에서 통기타 대신 감물을 들이기 시작했다고 합니다.

현재 그녀는 남도에서 패션디자인으로서의 길을 걷고 있다고 합니다.



라나에로스포(은희,한민)-사랑해




등대지기-은희트윈폴리오(송창식&윤형주),양희은